자는데 20kg 콘크리트 덩어리가 떨어짐
댓글
0
추천
0
02.19 14:40
작성자 :
강승


서울 한복판에서 모두가 잠든 새벽 시간, 아파트 천장이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해 지자체가 조사에 나섰다. 해당 아파트는 1970년 준공된 55년 된 건물로, 안전 평가에서 D등급(미흡)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용산구청과 주민들 진술에 따르면, 16일 오전 3시 17분쯤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3층 가정집 거실에서 천장이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했다. 본지 기자가 피해 가구를 방문해 현장을 살펴본 결과, 천장에서 가로 60cm, 세로 30cm 크기의 콘크리트 덩어리가 떨어져 거실 바닥에 깔려 있던 이불 위로 떨어져 있었다. 저울로 무게를 재본 결과, 그 무게는 20kg에 달했다.
피해 가구에 사는 송모(54)씨는 사고 발생 불과 3시간 전인 15일 자정, 콘크리트 조각이 떨어진 바로 그 자리에 이불을 깔고 머리를 두고 누운 상태로 TV를 보고 있었다고 한다. 송씨는 “자정이 넘어 침실로 들어가 자다가 갑자기 ‘꽝’하는 소리에 깨 거실로 나와 보니 집 천장이 무너져있었다”고 했다. 송씨의 아내 박모(48)씨는 “(콘크리트 조각이 머리 위로 떨어졌다면) 남편이 죽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며 “생각만 해도 너무 아찔하다”고 했다.

현장을 살펴보니, 거대한 구멍이 난 천장 사이로 심하게 부식돼 붉게 녹이 슨 철근이 흉물스러운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거실 이외에도 화장실 등 집 곳곳에서 천장이 부식된 상태였다. 벽 이음새에서는 실리콘이 뜯겨 벽면이 갈라져 있었다. 피해 가구와 같은 층에 사는 최애자(83)씨는 “우리 집도 천장 모서리 쪽이 부서져 틈이 벌어졌다”며 “비슷한 일이 일어날까봐 걱정되고 무섭다”고 했다.
송씨 부부는 “지난해부터 천장 곳곳에서 콘크리트 조각이 떨어지는 일이 잦았다”고 했다. 지난해 8월 용산구가 아파트 뒤편에 임시 주차장을 짓기 시작해 4개월 동안 공사를 벌였는데, 공사 때마다 지진이 난 것처럼 집이 흔들려 접시들이 서로 부딪혀 달그락거리고, 서랍장이 열렸다 닫히는 일이 반복됐다고 한다. 그 즈음부터 ‘뚝뚝’ 떨어지는 소리와 함께 천장에서 콘크리트 조각이 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일부 아파트 주민들은 “불과 두 달 전인 12월에 구청에서 안전 점검을 나왔었다”며 “건물에 균열과 손상을 확인했음에도 심각한 정도는 아니라고 말해 사실상 사고를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아파트 주민 김모(62)씨는 “당시 구청에서 사람이 나와 벽면을 육안으로 살펴보는 정도의 약식 점검만 하고 돌아갔다”고 했다.

이에 대해 용산구 측은 “지난해 12월 일반안전점검을 실시하기 전인 9월 22일에 이미 해당 아파트에 대한 정밀안전점검을 마쳤으며, 지금은 건축물 위험 우려에 따라 정밀안전진단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20일 주민설명회를 열어 주민들의 불만 사항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르면, 지자체 등은 시설물 안전등급을 A~E등급으로 구분해 관리하고 있다. 이중 하위등급인 D(미흡)·E(불량)은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해 보수·보강이 필요한 상태’를 뜻한다.
국내에는 해당 아파트와 같은 안전진단 하위등급인 D(미흡)·E(불량)등급 공동주택이 올해 6월 기준 284개소가 있다. 2020년 184개소에 비교해 5년 사이 1.5배 증가한 수치로, 주택 노후화에 따른 문제다. 이에 따른 안전과 생활 불편에 대한 주민 불만이 높아지고 있지만, 경제성 확보 어려움, 주민 의견 불일치 등으로 정비 사업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https://naver.me/GRo6jnRB